김매기소리 > 수영농청놀이 구성과 내용

본문 바로가기

수영농청놀이 구성과 내용

수영농청놀이 구성과 내용 HOME


김매기소리

농사일들 중에서 농청이 가장 활발하게 움직였던 것이 논매기였다고 한다.
  • '초복에 들빛이 한 빛이면 풍년이다' 라는 말이 전해지고 있는 것처럼 초복 무렵이 되면 모가 뿌리를 박아 '살음'을 한다. 동시에 갈, 보풀, 개쪽집이, 골대 등 논지심들도 뿌리를 내리고 성장하기 시작한다.
  • 김매기소리
  • 김매기소리

본문

이때를 기해서 논매기가 시작되는데, 초복 직후에 매는 것을 '아시 논매기', 중복 무렵에 매는 것을 '두벌 논매기', 말복 무렵에 매는 것을 '망시 논매기'라 하여 모두 세 번쯤 매었다.


행수가 농청을 일으키면 집강은 일의 순서를 정하고 그에 따라 수총각이 일을 받아 집행하였다. 어느 집의 논매는 날이 정해지면 농청원들은 아침 식전에 제각기 자기 집의 잔일들, 즉 물꼬보기, 풀베기 등을 처리하고 아침 식사를 한다. 영각수는 새벽부터 영각을 불어 논매는 날임을 알리고 7시쯤이 되면 다시 영각을 불어 농청원들이 모여들기를 재촉한다. 이 소리를 듣고 농청원들은 초당으로 모여든다. 집합이 완료되면 농청기와 영각을 앞세우고 꽹과리, 징, 장고, 북 등으로 농악을 치며 정해진 논으로 간다.


논매기소리는 계속 부르는 것이 아니다. 힘이 들고 고되면 잠시 동안 멈추기도 한다. 특히 아시 논매기 때는 힘이 너무 들기 때문에 소리를 많이 하지 않는다. 그러나 두벌 논매기, 망시 논매기 때는 벼도 제법 자랐고 힘도 덜 들기 때문에 흥이 나서 소리도 많이 한다. 이때 논 주인은 술과 밥으로 아침참과 저녁참까지 내어 대접을 잘한다. 특히 망시 논매기 때는 논을 다 맨 후 주인 집으로 가서 한바탕 노는 수도 있었다고 한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농청기를 꽂아 두고 논을 매고 있으면 벼슬아치들도 그냥 지나치지 않고 말에서 내려 격려하고야 지나갔었다고 한다.


앞소리   뒷소리  
에 ~ 헤 ~ 아 ~ 아 ~ 에 ~ 헤 ~ 아 ~ 아 ~
양운폭포 이른구름 에 ~ 헤 ~ 아 ~ 아 ~
해운모아 돌아드니 에 ~ 헤 ~ 아 ~ 아 ~
온정리는 명승지요 에 ~ 헤 ~ 아 ~ 아 ~
가인재사 놀던데요 에 ~ 헤 ~ 아 ~ 아 ~
해운대 동백섬은 에 ~ 헤 ~ 아 ~ 아 ~
고운선생 놀던데요 에 ~ 헤 ~ 아 ~ 아 ~
장산의 최고봉은 에 ~ 헤 ~ 아 ~ 아 ~
흑운찾어 솟아있고 에 ~ 헤 ~ 아 ~ 아 ~
가마산하 절영도는 에 ~ 헤 ~ 아 ~ 아 ~
창해뼈가 놀아있다 에 ~ 헤 ~ 아 ~ 아 ~
감포진 최영문에 에 ~ 헤 ~ 아 ~ 아 ~
해마다 봄이오고 에 ~ 헤 ~ 아 ~ 아 ~
포이만호 전선터에 에 ~ 헤 ~ 아 ~ 아 ~
임자없는 빈배들이 에 ~ 헤 ~ 아 ~ 아 ~
달만가득 실어있다 에 ~ 헤 ~ 아 ~ 아 ~
석양비낀 양창로로 에 ~ 헤 ~ 아 ~ 아 ~
신선대 찾아가니 에 ~ 헤 ~ 아 ~ 아 ~
신선이 양재호로 에 ~ 헤 ~ 아 ~ 아 ~
빈대홀로 뿐이로다 에 ~ 헤 ~ 아 ~ 아 ~
만경창파 십리에 에 ~ 헤 ~ 아 ~ 아 ~
날아오고 놀던백구 에 ~ 헤 ~ 아 ~ 아 ~
황혼에 집을찾아 에 ~ 헤 ~ 아 ~ 아 ~
민락교변 갈대밭에 에 ~ 헤 ~ 아 ~ 아 ~
흰빛으로 날아든다 에 ~ 헤 ~ 아 ~ 아 ~
청산을 하일배하고 에 ~ 헤 ~ 아 ~ 아 ~
운리에 득명이라 에 ~ 헤 ~ 아 ~ 아 ~
번락창해 하였으니 에 ~ 헤 ~ 아 ~ 아 ~
초수어옹이 상응호라 에 ~ 헤 ~ 아 ~ 아 ~
꺼꾸러져 장관이다 에 ~ 헤 ~ 아 ~ 아 ~
일편 서경월에 에 ~ 헤 ~ 아 ~ 아 ~
요란한 모애성은 에 ~ 헤 ~ 아 ~ 아 ~
혜왕성 깨트리고 에 ~ 헤 ~ 아 ~ 아 ~
규중에 수탉소리 에 ~ 헤 ~ 아 ~ 아 ~
새벽을 보하는데 에 ~ 헤 ~ 아 ~ 아 ~
서창하여 비등이요 에 ~ 헤 ~ 아 ~ 아 ~
북창외에 홍아여라 에 ~ 헤 ~ 아 ~ 아 ~
금연산 꽃봉속에 에 ~ 헤 ~ 아 ~ 아 ~
마하반야 천년고찰 에 ~ 헤 ~ 아 ~ 아 ~
석가여래 자비심은 에 ~ 헤 ~ 아 ~ 아 ~
고금에 통하여라 에 ~ 헤 ~ 아 ~ 아 ~
옥녀봉탕 금성이 에 ~ 헤 ~ 아 ~ 아 ~
배산에 잔잔하다 에 ~ 헤 ~ 아 ~ 아 ~
이내한몸 무슨팔자로서 에 ~ 헤 ~ 아 ~ 아 ~
온여름 덥운날에 에 ~ 헤 ~ 아 ~ 아 ~
무슨팔자 죄로지아 에 ~ 헤 ~ 아 ~ 아 ~
진풀밭에 고생하나 에 ~ 헤 ~ 아 ~ 아 ~
앞두룸에 행수님네 에 ~ 헤 ~ 아 ~ 아 ~
뒷두룸에 집강행수 에 ~ 헤 ~ 아 ~ 아 ~
뺑뺑돌아 돌아가소 에 ~ 헤 ~ 아 ~ 아 ~
돌가지돌가지에 쌈을싸소 에 ~ 헤 ~ 아 ~ 아 ~
오 ~ 아 ~ 오 ~ 우 ~ 슬기여 오 ~ 아 ~ 오 ~ 우 ~ 슬기여